본문 바로가기
Operating System/MacOS

[MacOS] Homebrew 설치 및 사용 방법

by 리콩알 2024. 6. 25.
반응형

첫 맥북 구매 후(꺄악 소리질러엇~~!!) 개발 설정과 설치를 하던 중 homebrew를 알게 되었다.

처음 homebrew가 무엇이지..? 했는데 homebrew는 명령어 한줄로 프로그램을 설치/제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편하게 설치하기 위해, 각각 웹사이트를 방문해서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터미널창의 명령어를 통해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 삭제 시에 맥에서는 파일삭제 시 관련 파일이 삭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homebrew를 통해 모두 삭제할 수 있어 홈브루를 이용한다고 한다.

 

 

1. Homebrew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 구글 검색창에 brew.sh로 검색하여도 홈페이지가 검색 된다)

https://brew.sh/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2. 홈페이지의 요 커맨드를 복사 한다. ( 옆에 있는 아이콘 클릭 시 복사 되며 초록색 체크 모양으로 변경 됨)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3. 터미널에서 Homebrew를 설치한다.

설치 시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해당 부분은 노트북의 잠금 비밀번호 이다.

 

 

 

설치 중간에 해당 부분에서 멈추는데 엔터키를 눌러 Xcode Command Line Tool을 설치 해준다.

 

 

 

 

4.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2줄을 차례로 터미널에 복사 후 붙여넣기 한다.

   ( 이미 나는 설치가 완료된 상태라 내용이 조금 다르다. 기존에 설치가 된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 두 줄이 상단에 차례로 있을 것이다. 각각 복사하여 차례로 붙여넣는다. )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nomadocoder/.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5. 터미널을 재시작 하여 brew를 입력한다. brew커맨드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brew가 설치된 것이다.

homebrew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모습

 

 

 

 

 

이제 터미널에서 node.js, python 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도 설치 가능하다. 터미널에서 설치 시 brew install --cask 와 함께 뒤에 설치 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이나 js등의 이름을 입력한다. ex) brew install --cask visual-studio-code

나는 VScode를 설치해 보았다.

VScode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모습

 

 

 

설치가 완료되면 Launchpad에서 설치된 해당 앱을 확인할 수 있다.

 

 

 

홈브루로 설치할 수 있는 앱이 어떤것이 있는지 궁금하다면, 홈브루 홈페이지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앱의 이름을 검색해보면 된다. 웹사이트에서 검색이 된다면 설치가 된다는 얘기이다.

 

 

 

google-chroem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할 수 있는 command를 볼 수 있다. 

반응형